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88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2025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2025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은 어르신의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 사회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모집기간 : 2024. 12. 2.(월) ~ 2024. 12. 27(금) (기관별 상이)*노인일자리 참여 신청서 제출은 선착순 접수가 아니며,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운영지침 선발기준에 의거 고득점자 우선 선발 접수방법 : 수행기관 직접방문 접수 준비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기초연금 수급자 확인서 등(기관별 유선확인 필요) 참여유형 : 노인공익활동, 노인역량활용, 공동체사업단, 취업지원   어르신들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촉진하는 이번 사업에 많은 관심과 참여하여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노.. 2024. 12. 20.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신청해보세요.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사업목적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은 청년의 심리정서 지원, 건강성 회복을 통한 삶의 질향상과 심리적 문제 예방을 통한 건강한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 촉진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서비스 대상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소득기준 없음*출생연도 기준(1989년~2004년생) - 우선지원 대상 1순위 : 자립준비청년, 보호연장아동 2순위 :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연계 의뢰한 청년 서비스내용전문심리상담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10회)1. 사전, 사후검사(90분) 각 1회2. 전문심리상담서비스 제공(1:1원칙, 50분) 주1회(총8회)3. 종결상담 1회(마지막 상담 시 제공)  서비스 가격 서비스 제공기관 - 관할 시군구 및 전자바우처포털(www.socialservice.or.kr) 서.. 2024. 12. 18.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이·맘·때 상담 받아보세요. 이 ·맘 ·때 이제, 마음건강을 돌봐야 할 때  이제, 마음건강을 돌봐야 할 때! 의 약자 이 ·맘 ·때!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있는 국민들에게 전문적인 심리상담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시행중인 프로그램입니다. 주요 목적은 우울, 불안 등 정서적문제를 해결하고,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것입니다.     이맘때 지원대상정서적 어려움으로 인해 심리상담이 필요한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능합니다.1.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상담센터, 정신의료기간 등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경우2. 국가 건강검진에서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우울증 선발검사에서 10점 이상)이 확인된 경우3.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4. 동네의원 마음건강 돌봄 연계 시험사업을 통해 의뢰된 .. 2024. 12. 17.
여성 1인가구 안심키트 지원사업 신청하세요.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여성 1인가구 안심키트 지원사업 신청하세요.   지원물품 - 서울시 성동구 안심 4종키트미러시트, 도어락필름, 보안스탬프, 미니소화기 - 서울시 관악구현관문 이중잠금장치, 가정용 CCTV - 서울시 강동구스마트 초인종, 현관물 이중잠금장치, 휴대용 긴급벨, 창문잠금장치 - 서울시 종로구스마트 모션 센서, 휴대용 긴급벨, 창문보조잠금장치  - 서울시 중구스마트초인종, 현관문 보조키, 휴대용 긴급  - 서울시 서초구홈방범 서비스, 디지털 비디오폰, 현관문 안전고리, 공동주택 출입구 CCTV, 공동주택 출입문 미러시트  - 서울시 용산구스마트 초인종, 현관문 이중잠금장치, 휴대용 긴급  - 의왕시 기본 1) 휴대용 비상벨 2) 홈카메라 3) 창문잠금장치선택 4)-1 현관문 안전걸이 4)-2.. 2024. 12. 16.
위기 상황에 처한 이웃이 있다면? 긴급복지 핫라인에 전화하세요!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 경기도는 복지 사각지대에서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 이후 긴급복지 핫라인과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 경기복  G톡, 경기도 긴급복지 누리집 등 긴급복지 핫라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긴급복지 핫라인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종합대책으로생활고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지원제도를 안내하고 도움을 받을 수있도록 연결해주는 사업입니다. 신청기간상시신청 전화문의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 경기도 긴급복지위기상담 콜센터(031-120-0) 신청방법방문 신청 ;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군,구청에 방문 신청  지원형태현금, 현물, 기타     긴급복지 핫라인 운영 절차는? 1. 접수 - 위기상담 민원 접수(핫라인,.. 2024. 12. 15.
도움이 필요하면 청년, 중장년 일상돌봄 서비스 신청하세요. 지난 글에서 경기도난 글에서 경기도 360돌봄 누구나돌봄 정책에 대해 알려 드렸습니다.https://gentlehill.net/68 경기도 360 돌봄 누구나돌봄경기도에 거주하는 경기도민이라면 돌봄부터 교통, 금융, 기회소득 등 경기도에서만 시행하는 특별한 정책들이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위기 상황. 하지만 이런 상황gentlehill.net 360 돌봄, 누구나 돌봄은 경기도의 정책이며 공적돌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불가피한 공백이 발생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돌봄, 언제나 돌봄, 어디나 돌봄  3가지가 있고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청년, 중장년 일상돌봄'은 보건복지부 정책입니다.  질병, 부상, 고립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2024.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