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88 주,정차위반 과태료 모바일 전자고지 시행 안내 버리면 왠지 찜찜해서 구석에 쌓아 놓았던 종이 고지서... 이제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고지서가 쌓일 일이 없습니다. 물론 주정차 위반을 안하면 되겠죠;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란 주, 정차 위반 과태료 부과 대상자에게 사전통지서 및 부과 고지서를 종이 우편 대신 전자고지(카카오톡)를 통해 발송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제 과태료 정보도 휴대폰으로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종이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으니 환경도 보호할 수 있고, 편리하기까지 합니다. 12월부터 시범 운영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일시2024년 12월부터 - 시범운영 : 2024년12월~2025년1월(종이고지서, 모바일 병행 고지) - 전명운영 : 2025년 2월부터(전자고지 열람, 납부 시 별도.. 2024. 12. 13. 202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받으세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청년월세를 한시적으로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 19세~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중 청년가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을 지원합니다. *1)30세 이상, 2)혼인(이혼), 3)미혼부,모 4)30세 미만 미혼 청년의 소득이 중위소득 50% 이상으로 생계를 달리한다고 시,군,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 등은 원가구 소득 미고려 - (청년가구)청년+배우자+직계비속+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그 외[민법]상 가족 - (원가구)청년독립가구+1촌이내 직계혈족(부,모) 주의사항)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주택 소유자(분양권, 입주권 포함).. 2024. 12. 12. 2025년도 초등학교 취학통지서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발급 받으세요 태어난게 엊그제 같은데 자녀가 벌써 초등학교 갈 때가 되었지요?이제는 초등학교 취학통지서를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2025년도 초등학교 입학을 준비하는 예비 입학생의 취학통지서!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발급 받으세요. 우선 정부24에 회원 가입을 해야겠죠?https://gentlehill.net/33 정부24 회원가입정부24는 대한민국 정부의 통합 행정서비스 플랫폼으로, 국민들이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온라인으로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민원 서gentlehill.net 금융인증서도 등록 하시구요.https://gentlehill.net/39 정부24 금융인증서 등록정부24에서 민원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2024. 12. 11. 차량으로 교차로에서 우회전 하는 방법 교차로에서 차량으로 우회전 할 때 어떻게 해야 위반하지 않고 적법하게 우회전 하는 것일까요? 교차로에서 차량 신호등이 적색일 때 우회전 하는 경우 운전자의 정지의무가 명확해졌습니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이 공포되어 2023년 1월 22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2023년 1월 22일 공포된 개전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면운전자는 차량 신호등이 적색일 때 우회전 하는 경우 정지선,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서 정지한 후 우회전 해야 합니다. 우회전 신호등이 도입돼 해당 신호등이 설치된 곳(보행자 사고가 빈번한 곳, 대각선 횡단 보도 등)에서 우회전하려는 운전자는 이에따라야 합니다. 이번 개정에서 적색 신호에 우회전할 때 정지 후 진행해야 하지만, 현재의 규정이 정지 여부에 대해 명확하지 않다는 의견을 반.. 2024. 12. 10. 노후대비에는 연금저축이죠.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지난 글에서 노후대비를 위하여 3층연금구조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 드렸었습니다. https://gentlehill.net/46 3층 연금구조(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노후대비통계청 고령자 통계 및 정부 지표누리 통계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은 2022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기준)은 시장소득 기준 57.1%로, OECD 국가 중에서도gentlehill.net 국민연금은 가장 중요하지만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우리의 노후를 책임져 줄 수 있을지 우려가 되고 결국 우리 노후는 스스로 잘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직장 생활하는 분들은 퇴직연금(DB 혹은 DC), 퇴직연금 IRP 그리고 연금저축을 통해 노후 대비를 해.. 2024. 12. 8. 연금저축 퇴직연금IRP 일시납 알고 계신가요? (현명한 연말정산) 연금저축은 노후 대비를 위해 개인이 가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장기 저축 상품입니다. 정부가 세액공제를 통해 가입을 유도하고, 노후에 연금 형태로 수령하도록 설계된 금융 상품입니다. 정부가 연금저축 가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세액공제 혜택은 강력합니다. 세액공제 한도 연간 납입금의 600만원, IRP를 합산하면 최대 9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세액공제율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6.5%(소득세율 15% + 지방소득세 1.5%)총급여 5,500만원 초과 : 13.2%(소득세율 12% + 지방소득세 1.2%) 예시) 연 400만원 납입 시 : 총급여 5,000만원 직장인 : 66만원(400만원 x 16.5%) 세금 환급.총급여 6,000만원 직장인 : 52만 8,000원(400만원 x 13.2%.. 2024. 12. 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